에토스(Ethos)-로고스(Logos)-파토스(Pathos)
강단에서 말씀을 전하는 분들에게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커뮤니케이션의 3 요소 즉 에토스, 로고스, 파토스는 중요합니다.
설교자의 에토스(Ethos, 인격, 태도, 동기)는 일단 그 의도가 순수해야 합니다. 그것을 전제로 했을 때 설교자는 듣고 행동에 옮길만한 가치가 있는 로고스(Logos,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에토스와 로고스가 제자리를 찾으면 청중의 파토스(Pathos, 일치감, 내용과 타당성)와 설교자는 온전히 하나가 될 것입니다.
만약 설교자가 에토스(Ethos 인격, 동기)가 타락하면 로고스(Logos 말씀)는 이기적이 되고 청중의 파토스(Pathos 일치감)는 속거나 기만을 당했다는 느낌을 갖게 될 것입니다. 만약에 말하는 사람의 에토스(Ethos)는 순수한데 로고스(Logos)가 잘 발달되지 않게 되면 파토스(Pathos)는 의심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 3가지 중(Ethos, Logos, Pathos) 어느 하나라도 약해지거나 부정확해지면 진리는 손상을 입게 됩니다. 에토스는 잘못되었지만 로고스는 정확한 경우가 있다 할지라도 그 경우에도 청중의 파토스는 당연히 의심을 품기 마련입니다.
설교자(Communicator)가 깨끗한 인격과 동기(Ethos)가지고 정확한 말씀해석(Logos)을 가져야지만 성도들과 일치감(Pathos)를 불러일으키게 되고 진리안에서 모두가 자유함을 누리게 되는 것입니다.
(Calvin Miller ‘Communicator’ 중)
Ethos-Logos-Pathos
For those who preach from the pulpit, Aristotle’s three elements of communication, namely ethos, logos, and pathos, are important.
The ethos (personality, attitude, motive) of a preacher must first have pure intentions. When this is assumed, the preacher can deliver a logos (message) that is worth listening to and acting on. Finally, when ethos and logos find their place, the pathos (congruence, content and validity) of the audience and the preacher will become completely one.
If the ethos (personality, motive) of a preacher is corrupted, the logos (words) will become selfish, and the pathos (congruence) of the audience will feel deceived or deceived. If the speaker’s ethos is pure but his logos is not well developed, his pathos will be doubtful. If any one of these three (Ethos, Logos, Pathos) is weak or inaccurate, the truth will be damaged. Even if ethos is wrong but logos is correct, the audience’s pathos will naturally be doubtful.
The preacher (Communicator) must have a pure character and motive (Ethos) and an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Word (Logos) in order to arouse unity (Pathos) with the congregation and allow everyone to enjoy freedom in the truth.
(From Calvin Miller’s ‘Commun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