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안내
Church & Ecclesia

예배와 말씀
Worship & Kerygma

훈련과 섬김
Didache & Diakonia

다음세대&다리사역
Youth/EM

교제와 선교
Koinonia & Diaspora

교제와 선교
Koinonia & Diaspora
새가족환영
New Family Welcome
자유게시판
Free Board
방명록
Guest Board
자료실
Source Board
성지순례
Holy Place Pilgrim
선교소식
Mission Letter
       
자료실 Source Board

The meaning of Advent 5 Candles

 

 

by Jonathan Powers

There is special purpose and meaning to every liturgical pattern, symbol, and practice employed in the worship of the church. Sometimes, however, the purpose and meaning of a liturgical act becomes lost even though the practice persists. When uneducated about such practices, the church is left in confusion and with unanswered questions.

For those familiar with the liturgical calendar, the four weeks prior to Christmas are known as the season of Advent. A common practice in churches and homes during Advent is the progressive lighting of four candles – one per week, three purple and one pink – as a symbol of expectation for God’s presence on earth. On the first, second, and fourth Sundays in Advent, a purple candle is lit. On the third Sunday, (yes, on the third Sunday), a pink candle is lit.

Lighting a pink candle on the third Sunday in Advent tends to be one of the more ambiguous liturgical practices of the church. Not many people know the purpose or history of the pink candle. Two questions I commonly hear are, “Why is there a pink candle in the midst of three purple candles in the Advent wreath?” and “Why is the pink candle lit on the third Sunday and not the fourth?”

In hopes of clarifying confusion about the pink candle, and to help restore liturgical purpose and meaning to the practice, the paragraphs below briefly examine the history of Advent.

Epiphany to Advent
Before looking at the pink candle, som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season of Advent is needed. However, to understand Advent, the seasons of Epiphany, Lent, and Easter must first be considered.

Worship in the ancient church was an event-oriented gathering. The ancient church believed that by commemorating events of Christ’s life within space and time, the power of the commemorated event was made real and present to the worshiping community. In particular, worship allowed the worshiper to experience the lif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us, the events of Epiphany and Easter became focal points for worship in the ancient church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Christ-events they represented (i.e. presented again).* Epiphany (which means “manifestation”) commemorated Jesus Christ’s incarnation and revelation to both Jews and Gentiles as the Savior of the world. Easter commemorated victory over sin and death through Jesus Christ’s resurrection from the dead.

As the highest feast days of the liturgical year, Epiphany and Easter were marvelous celebrations of worship rejoicing in life and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The celebratory focus of Epiphany and Easter led to their being chosen as the dates when new Christians were baptized and fully accepted into the church. Since the ancient church understood baptism as the mark of a life completely re-oriented in Christ, (the essence of Epiphany and Easter celebration), a season of baptismal preparation was necessary. The season of baptismal preparation directly preceding Easter developed into the season of Lent. The season of baptismal preparation prior to Epiphany developed into the season of Advent. Each preparatory season was an intense time of prayer and scrutiny, a time to commit one’s self to the purification of sin and transformation into Christ-like righteousness, and a time to expectantly ready oneself to enter into the full worship of the church.

Additionally, since the whole church invested in the spiritual preparation of the baptismal candidates, the seasons of Advent and Lent guided the spirituality of the entire worship community. Both Advent and Lent were seasons for penance, repentance, sacrifice and simplicity in the church. They were contrite seasons observed with solemn prayer and fasting. Furthermor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preparation for baptism, they each called the church to reflect on the baptismal reality of dying to sin and rising to new life in Christ. Yet, where Lent was a time for the church to focus on salvation through Christ’s life, death, and ultimately his resurrection on Easter; Advent was a time for the church to focus on hope through Christ’s incarnation revealed in his first coming in human form and anticipated in his second coming in final victory.

Purple to Pink
Eventually, the corporate spiritual experience of preparation and celebration was established into a yearly pattern of worship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liturgical calendar. Each season of the liturgical calendar was signified with its own particular mood, practices, theological accent, and scriptural concentration. Particular colors were displayed in paraments around the worship space and in the vestments worn by clergy to represent each season of the liturgical calendar. Though simple rituals, these external processes helped guide the inner experience of the worshiper in meaningful ways. Worship and spirituality were cultivated through cycles of light and darkness, symbols of joy and penitence, and patterns of feasting and fasting.

The color traditionally chosen for paraments and vestments in the church during Lent and Advent was a deep purple, signifying royalty, repentance, and suffering. These colors set a quite somber and melancholy tone. Still, in the midst of such solemnity, the church recognized that Christians are never a people without joy. When true repentance occurs, joyful obedience is the result; thus, there is joy to be celebrated even in the most penitential times. Moreover, joy is not only a fruit of the Holy Spirit’s work in an individual’s life but also a characteristic common in God’s Kingdom.

As the liturgical calendar developed, one Sunday was set aside in each season – the fourth Sunday in Lent and the third Sunday in Advent – to focus on joy. The color pink (or more accurately, rose) was chosen as a reminder on these Sundays that even in the midst of longing, penitence, and fasting, the church never ceases to rejoice.

In the attitude of rejoicing, on the third Sunday of Advent and the fourth Sunday in Lent the church changed its paraments and vestments from purple to pink. Centering the church’s worship in joy, services during Lent began with the statement, “Laetare Jerusalem” (or “Rejoice, O Jerusalem”), causing the fourth Sunday of Lent to become known as Laetare Sunday. Correspondingly, the third Sunday in Advent was called Guadete (or Rejoice) Sunday, so named for the use of Philippians 4:4 as a central scripture read and sung in worship: “Rejoice in the Lord always, again I say, rejoice.” Additionally, one of the four purple candles in the Advent wreath was changed from purple to pink on the third Sunday in Advent. Even today, the third candle in the Advent wreath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joy candle.**

Repentance to Joy
It is important to not forget that in the midst of the solemnity of Advent there is joy! We rejoice that we stand as thos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dvent, recognizing that Christ has come incarnate into this world and celebrating with hope and eagerness that he will come again!

Church leaders and worship planners need to keep in mind how joy can be appropriately celebrated in the midst of Advent. Here are a few (meager) suggestions of practices that might help bring an awareness of joy into worship during the Advent season:

  • Have a prayer time that focuses on joy in the midst of waiting/preparation. Share praises and celebrations that allow the church to rejoice in the Lord.
  • Allow a time for testimonies of repentance leading to joyful obedience in Christ-like living.
  • Sing or recite lyrics to the hymn “Joy to the World.” (This hymn by Isaac Watts is often sung as a Christmas hymn, however Watts wrote it as a song to focus on the second coming of Christ. Read it with an Advent perspective. Viewing the lyrics in light of Christ’s final reign often brings my heart to overflow with joyful expectation.)
  • Commit to acts of mercy throughout the week that can help bring joy to another person’s life. Prayerfully consider who may need such joy to break through the darkness during this season.
  • If you light a pink candle this week, find an appropriate way to provide background or explanation to its meaning and purpose. Be careful to not be too didactic within worship itself, but consider how you might intentionally inform your church about joy in the midst of Advent.

I pray that the joy of Christ fills our worship this Advent. May we proclaim in confidence with joy that Christ has come, Christ has died, Christ is risen, Christ will come again!

 

*It could easily be argued that in the western church today, the two highest days of celebration are Christmas and Easter. Ancient liturgical documents, however, show Epiphany as being both older and having a more important place in Christian history than Christmas. Many eastern churches still give prominence to Epiphany over Christmas.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e of candle lighting during Advent is somewhat obscure. At one point, the church did a similar practice of lighting seven purple candles during the season of Lent. Perhaps the practice was simply carried over from Lent to Advent. There is also speculation that the liturgical act originated in Germany, adapting a pagan practice where the Germanic people would light candles during the long December nights as a symbol of hope in the darkness.

<원문링크: https://www. To seedbed.com/pink-candle-advent-wreath/>

Jonathan Powers

Dr. Jonathan A. Powers is Assistant Professor of Worship Studies at Asbury Theological Seminary, where he shares his passion for the intersection of liturgy and spiritual formation in the life of the church. Jonathan is the author of 12 Days of Christmas Sermons, and co-author with Jason Jackson and Teddy Ray of Echo: A Catechism for Discipleship in the Ancient Tradition, both published by Seedbed. He and his wife Faith have two daughters.

 

✍️번역)  대강절 초의 의미와 기원

교회력에 사용되는 예식과 심볼과 예식의 행위에는 연관되어 있는 깊은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예식의 의미를 잃은채 예식의 행위가 전해 내려오는 경우가 종종 있음을 보게 됩니다. 우리가 예배 가운데 행하여지는 의식에 대해 제대로 된 훈련/교육을 받지 못할때 교회가 제대로 인지 못하는 예식에 의해 혼란을 겪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교회의 교회력에 대한 이해가 깊으신 분들은 성탄절 전 네번의 주일이 강림절 (혹은 대강절)로 지켜지고 있음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많은 교회와 신앙의 가정에서는 하나님이 이 세상에 오심을 기다리는 대강절 초를 매주일에 한번씩 켜는 의식을 거행하게 됩니다. 첫째, 둘째, 넷째 주에는 보라색 초를 밝히게 되며, 셋째 주에는 분홍색 초를 켜게 됩니다.

강림절 셋째 주일에 분홍색 초를 켜는 의식이 교회예식 중에 가장 모호한 의식중 하나라 여겨 질 수 있습니다. 대강절 초에 분홍색 초가 포함 되어 있는 이유를 많은 분들이 모르실 것입니다. 제가 이에 대해 가장 많이 듣는 두개의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왜 분홍색 초가 보라색 초 가운데 끼어 있지요?” 또는 “왜 분홍 초가 넷째 주가 아닌, 셋째 주에 켜지나요?”

분홍색 초가 보라색 초 가운데 섞여 있는 이유를 밝히기 전에 강림절에 대한 의미와 전통을 설명함으로서 올바른 대강절 촛불이 밝혀지기를 기대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대강절의 전래를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주현절에서 강림절까지 (Epiphany to Advent)

분홍색 초에 대해 이야기 하기 전에 강림절에 이르기까지의 교회력에 대한 설명을 해야하겠습니다.
주현절로 시작하여, 사순절, 부활절 그리고 강림절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겠습니다.

고대 교회에서 행하여지던 예배를 행위 중심(event-oriented) 의 모임이였습니다. 고대 교회는 시간과 공간안에서 예수님의 삶을 기억하는 예배의 행위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현존하는 임재로 나타난다고 믿었습니다. 특별히, 고대 교회는 예배의 시간을 통하여 예수님의 생애, 죽으심, 그리고 부활을 재경험하는 공간이라 믿었습니다. 그러므로, 주현절로 시작하여 부활절에 이르는 사건이 예배의 주체가 되었습니다. 주현절 (예수님의 출현)은 유대인과 이방이 모두에게 세상의 구세주로의 나타나신 주님의 성육신을 기념하는 사건이며, 부활절은 죄와 죽음을 이기시고 부활하신 주님을 기념하는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부활절이 죽음을 이기시고 부활하시어 세상의 죄를 끊은 역사적인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교회력의 정점을 찍는 주현절에서 부터 부활절까지의 기간은 주님의 공생애 사역과 구원의 역사를 기념하는 예배의 축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주현절로 시작하여 부활절에 까지 이르는 축제의 성격 때문에, 많은 전통은 새로운 그리스도인들의 세례와 교회의 일원으로서의 입교를 위한 교육과 세례를  이 절기에  주로 베풀었습니다. 세례가 우리의 삶을 온전히 주님께 맞추어 가는 결단으로 여겼던 고대교회의 전통에 따라, 주현절과 부활절에 세례를 베풀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교육기간이 따로 필요했습니다. 그리하여 고대 교회를 부활절 바로 전, 사순절 기간동안 세례교육을 베풀었고, 주현절에 세례를 받는 이들을 위해 대강절 (강림절) 기간동안 세례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세례 준비를 위한 교육은 기도와 자아성철, 순결한 삶을 사는 다짐과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기 위한 노력, 그리고 예배에 전심으로 참여하는 일에 중점을 두어 진행 되었습니다.

거기에 더하여, 온 교회가 세례를 받기 위해 준비하는 이들의 영적여정에 참여하는 믿음 때문에, 대강절 (강림절) 과 사순절은 온 교회의 영적 부흥을 위해 집중하는 기간으로 여겨졌습니다. 대강절 (강림절)과 사순절은 참회와 회개, 자기 부인과 단순한 삶으로 초청하는 영적 공간이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이 기간동안 교회는 집중적인 기도와 금식의 기간으로 지켜졌습니다. 거기에 더하여, 교회는 성도들이 세례를 준비하는 여정 가운데, 자신을 부인하고 예수의 죽음에 동참하는 세례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묵상하도록 독려하였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사순절이 주님의 공생애를 기억하며, 주의 죽음 (대속)의 은혜로 받은 구원이 부활절의 사건의 열매임을 기억하는 반면에 대강절은 하늘 보좌를 버리고 세상의 희망과 빛으로 오신 주님의  초림을 기억하며, 세상에 다시 오실 주님을 기다리는 희망에 대해 묵상하는 절기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보라에서 분홍까지 (Purple to Pink)

이와 같은 교회의 영적 성숙의 경험이 점차 예배의 방향을 세워주는 교회력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교회력의 각 절기는 각각의 영적분위기, 전통, 신학적 특성과 영적인 집중도에 따라 달리 구분됩니다. 예배당 곳곳에는 절기를 상징하는 색의 휘장들이 걸려지고, 목회자는 교회력을 구분하는 색의 스톨을 착용하게 됩니다. 단순해 보이는 것 같지만, 이와 같은 외적인 요소들이 예배자의 내적 성장에 도움을 주는 지표가 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빛과 어둠의 순환, 기쁨의 상징과 인내의 교차, 그리고 축제와 금식의 대비로 이루어지는 교회력의 구성이 예배자의 영적 성장을 다듬어 가는 도구임을  볼 수 있습니다.

사순절과 대강절 (강림절) 기간 동안, 강대상과 예배당 곳곳에 놓여진 휘장 (강대상 보)의 색깔은 진한 보라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습니다. 보라는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동시에 회개와 고난을 상징하기 때문에 이 기간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보라색이 다소 무게감이 느껴지기도 하고, 우울한 감 마저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와 같은 절기의 분위기 속에서 교회는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들이 기쁨/ 희락 (Joy) 를 잊어서는 안됨을 상기시켜 줍니다. 진정한 회개가 있는 곳에 기쁨의 순종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회개의 기간 동안 우리는 주님이 주시는 기쁨을 회복해야 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성령으로 부터 말미암는 기쁨/ 희락이 개인에게 주어지는 성령의 열매가 아니라, 나아가 교회에게 주는 선물이며 세상에 나누어야 하는 기쁨임을 기억하게 합니다.

이와 같이 회개의 기간인 사순절과 강림절에 한 번의 주일을 따로 구분하여 주님이 주시는 기쁨을 기념하게 하는 교회력의 의미가 있습니다. 사순절은 넷째 주일, 대강절은 셋째 주일을 기쁨의 주일로 지정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분홍색 초 (더 엄밀히 말하면 장밋빛) 가 기나긴 회개와 금식의 절기 가운데, 주님으로 부터 부어지는 희락과 기쁨을 잊지 말라는 깊은 뜻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회력의 의미의 연장선상으로, 대강절 셋째 주일과 사순절 넷째 주일에 맞추어 교회들이 분홍색으로 교회를 새단장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예배의 중심을 기쁨의 축제로 전환하기 위함입니다. 사순절 넷째 주일 예배는 “예루살렘이여! 기뻐하라 (Laetare Jerusalem)” 이라는 선포로 시작되며, 사순절 넷째 주일이 기쁨의 주일 (Laetare Sunday)로 알려지게 된 이유입니다. 이와 같이 강림절 셋째 주일은 기쁨의 주일 (Guadete Sunday) 로 알려졌습니다. 이 날에는 빌립보서 4장 4절의 말씀이 예배의 중심이 되며, 예배 가운데 계속 해서 불려지는 구절이 되는 것입니다.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 – 빌립보서 4장 4절.

이 때문에 대강절 네개의 진한 보라색 촛불 중 하나의 촛불이 분홍색으로 바뀌게 된 것입니다.  그리하여 현재까지 세번째 대강절 촛불이 분홍색이며, 이를 가르켜 기쁨의 초라 일컫고 있습니다.

회개에서 기쁨으로 (Repentance to Joy)

우리는 영적인 무게감이 넘치는 대강절 기간 가운데 기쁨의 소식이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주님이 세상에 처음 오신 첫 대강절과 다시 이 세상의 왕으로 오실 마지막 대강절 사이에 살아가는 우리는 기쁨으로 세상에 임재하신 주님을 기뻐하며, 다시 오실 주님을 기쁨으로 맞이해야 하는 것입니다.

교회의 예배를 이끌어 가는 리더들은 대강절이라는 기다림의 시간 동안 기쁨의 예배를 주님께 올려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몇가지의 제안을 하려 하오니, 이를 통해 대강절의 예배 가운데 주님이 주시는 기쁨이 넘치기를 기도합니다.

 

  • 주님의 오심을 기다리며, 이를 간구하는 기도의 시간을 가져 보십시오. 예배 찬양 선곡을 기쁨의 노래와 힘이 넘치는 노래로 선곡해 보십시오.
  • 회개의 삶을 고백하는 간증을 통하여 주님을 따라 순종하는 기쁨의 소식을 성도가 나누도록 계획해 보십시오.
  • 찬송가 115 장 기쁘다 구주 오셨네를 예배 가운데 찬양하는 시간으로 선정하십시오.  흔히 기쁘다 구주 오셨네는 성탄절 찬송으로 알고 있는데, 원작자인 Isaac Watts는 주님의 재림을 기다리며 이 찬송을 썼다고 알려졌습니다. 대강절의 관점으로 가사를 읽어 보시면 새로운 의미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주님이 다시 오실 그 날을 기다리는 마음을 표현한 이 찬송의 가사가 우리의 마음을 뜨겁게 할 것입니다.
  • 예배 후 각자의 자리에서 자비의 사역 (Act of mercy)에 참여 할 수 있는 기회를 성도들에게 알려주십시오. 남을 돕는 선교의 삶을 살아 갈때 우리 안에서 샘솟는 기쁨을 만끽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만약, 분홍색 초를 밝히게 된다면, 너무 지루하지 않게, 분홍초를 사용하게 된 신학적 의미를 성도들과 나누어 보십시오. 너무 강의식으로 나누지 마시고, 강림절 가운데 기쁨의 소식을 기억하게 하기 위한 교회력의 구성을 나누며 기쁨의 예배로 성도들을 초대해 보십시오.

이 글로 인해 여러분들의 교회안에서 강림절과 사순절 기간 가운데 기쁨의 예배가 넘치기를 기도합니다. 믿는 이들이 계속하여 우리를 위해 이 세상에 오시어, 죽으시고, 부활하신 주님을 찬양하는 기쁨의 예배가 계속 되기를 기도합니다.

✍️

매년 새해의 시작은 1월 1일 신정으로부터 시작하지만 교회력의 시작은 대림절(Advent)로부터 시작됩니다. 그러므로 대림절은 교회력으로는 신년이 되며 대림절 첫째 주일이 신년 정월 초하루가 되는 셈입니다. ‘대림절’(Advent)이란 뜻은 “도착한다, 기다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초대 교회부터 성탄절 이전 4번의 주일을 대림절 혹은 강림절로 지켰습니다. 그 뜻은 하나님의 독생자 예수님이 이 땅에 강림(Advent) 즉 내려오심을 준비하며 기다리는 기간이라는 뜻입니다. 강림이란 마치 풋볼 경기에서 상대방 골대에 볼을 가지고 터치다운하듯이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이 이 땅에 touch down 즉 성육신하셨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대림절에는 강단상에 촛불 5개가 꽂혀 있습니다. 3개의 보라색(Purple or violet), 1개의 붉은 색(혹은 분홍색), 1개의 하얀색으로 구성되어집니다. 첫번째 초는 예언의 초(희망의 초), 두 번째는 베들레헴의 초(평화/준비의 초), 세 번째는 목자들의 초(기쁨의 초), 네 번째는 천사들의 초(사랑의 초)를 뜻합니다. 성탄절을 바로 앞둔 바로 직전 주일에는 붉은 색을 점화하는데 이것은 사랑을 상징합니다. 초의 색깔이 점점 짙어지는 것은 주님이 더욱 더 가까이 오심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대림절 화환은 상록수를 이용하는데 상록수의 푸름은 변함없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화환의 동그란 모양은 끝없는 하나님의 사랑을 의미합니다.

성탄절에 점화하는 하얀 초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세상을 밝히시는 빛되신 주님을 상징합니다. 어둠속에 살고 있던 인류에게 생명을 주시기 위해 빛으로 오신 주님을 기다리며 매 주일마다 촛불이 켜지게 되는 것입니다. 대림절 기간동안 둘째 주일(올해 12월 14일)을 성경주일로 지키는 것은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의 빛이 되었다는 점에서 성경주일을 대림절 기간동안 지키는 것입니다. 동시에 이 촛불을 바라보면서 이 땅에 다시금 오실 주님을 소망중에 기다리는 신앙을 갖게 됩니다.

역사적으로 흰초를 제외한 이 4개의‘초’는 독일 개신교 목사인 요한 힌리히 비헤른이 어린이 보호시설 ‘라우에 하우스’에서 첫 불을 밝혔다고 합니다.

올해에는 12월 1일(주일)부터 12월 24일(화)까지가 초를 켜는 기간입니다. 둘째 주일은 이전 초 하나와 새 초를 켜서 일주일 내내 두 개의 초를 밝히고 셋째 주일에는 이전 초 두 개와 새 초를, 넷째 주일에는 초 네 개를 모두 밝힙니다.

매 주일 새 초를 켤 때 성경과 함께 아래의 글을 묵상하면 더욱 뜻 깊습니다.
1. 첫째 주일: 이사야 60:2-3 “이 촛불을 희망의 상징으로 밝힙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이 빛이 어둠 속에서 저희가 구원의 길을 보게 하옵소서. 곧 오소서 임마누엘!”

2. 둘째 주일: 이사야 9:1-2 “이 촛불을 평화의 상징으로 밝힙니다. 하나님께서 예언자들을 통해 주신 이 말씀이 저희를 구원의 길로 인도하게 하옵소서. 곧 오소서 임마누엘!”

3. 셋째 주일: 이사야 35:10 “이 촛불을 기쁨의 상징으로 밝힙니다. 주께서 임하신다는 기쁜 약속으로 구원의 소망 가운데서 기뻐하게 하옵소서. 곧 오소서 임마누엘!”

4. 넷째 주일: 이사야 9:6-7 “이 촛불을 사랑과 은총의 상징으로 밝힙니다. 평강의 왕으로 찾아오시는 우리 주님을 영혼의 등불을 켜고 깨끗한 마음으로 맞아들이게 하옵소서, 곧 오소서 임마누엘!

성도들은 대강(림)절 기간동안 예배에 참석하면서 점화된 촛불을 통해 빛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생각하며 그 분을 통해 주어지는 희망, 평화, 기쁨, 사랑을 다짐하게 되는 것입니다.

This entry was posted in 자료실 Source Board. Bookmark the permalink.

Comments are closed.

No.TitleWriterDateHit
261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신년하례회 webmaster 2020.01.15 262
260 Washington DC Travel Guide webmaster 2020.01.14 811
259 전문: Protocol UMC issue webmaster 2020.01.10 1085
258 Church Road 사인판(하늘비전교회) webmaster 2019.12.20 334
257 그때를 떠올리며(장은경사모) webmaster 2019.12.20 675
256 Charles Wesley’s Gift of Music webmaster 2019.12.18 393
255 Ruby Kendrick(1883-1908)-missionary Korea webmaster 2019.12.18 2082
254 The letter from John Wesley webmaster 2019.12.07 639
253 Tel Aviv-Yafo (Hebrew: תֵּל־אָבִיב–יָפוֹ) webmaster 2019.12.05 844
252 The meaning of Advent 5 Candles webmaster 2019.11.30 1472
< Prev ... 1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58 ... Next > 
 
    워싱턴 하늘비전교회 Heavenly Vision Community Church | 담임목사: 장재웅 (Rev. Jaewoong Chang)
Address:7565 Teague Rd Hanover MD 21076 | Cell: (410)200-3859 | Office: (410)595-6958 | Email: mdkumc@gmail.com
COPYRIGHT © 2018 Heavenly Vision Community Church.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Heavenly Vision Community Church